원격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마스터 장치로, 병진 운동부 3자유도, 회전 운동부는 4자유도, 핸들부 1자유도 총 8자유도의 모션 입력이 가능한 장치 회전 운동부는 1개의 여유자유도를 포함하여 조작자의 손목 동작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 가능 모든 자유도(병진운동부, 회전운동부, 그리핑)에 구동기가 있어 모든 자유도로 힘/토크 출력이 가능
소프트 그리퍼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파지 제어를 위해서는 관절센서, 굽힘 센서, 그리고 접촉력 측정 센서의 도입
3~4마디의 관절을 지닌 손가락 3개로 로봇 손을 제작한 뒤, 상용 로봇 팔에 부착해 개발한 협동 로봇 기술로 잡기부에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여 고도의 조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3지 그리퍼에 관한 기술임
하나의 뎁스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처리로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하여 이송 로봇이 물체를 추종할수 있어, 시설 농장 또는 공장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
해양쓰레기 수거로봇에 관한 것으로, 항•포구 내 해양쓰레기가 밀집되는 협소한 공간 또는 계류로프가 많은 지역에서 원활한 운항이 가능하면서도 해양쓰레기에 대한 포집 용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
- 무선 전력전송에 필요한 코일단의 경우 자성 소재가 적용됨. 따라서, 자성 소재를 전자석화 하여 송/수신 코일단을 정렬시키는 기술이며, 전력전송에 필요한 송/수신 코일간 결합계수를 높여, 무선충전 효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기반하여 3가지 모드로 동작됨. 1) 자동 정렬 모드 : 정렬 코일에 높은 전류 제어를 통해 자속을 키워서 무인 이동체를 무선충전기로 끌어옴. 2) 충전 모드 : 정렬된 송신단 및 수신단 코일을 Holding 하기 위한 최소 전류 제어를 하여 무선 충전 시 발생되는 자속에 영향을 최소화 함. 3) 충전 완료 : 충전 완료되면, 무인 이동체의 이동을 위해 정렬 코일에 전류를 0으로 비활성화 시킴.
추가적인 주변 자동화 장비 없이 다관절 로봇 시스템과 3차원 비전 시스템만으로 박스 형태의 비정형 물류 디팔레티징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로써, 물류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적재된 비규격 박스를 내리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전용 UI 및 로봇 동작계획 S/W로 구성됨 O 전용 UI: - 로봇 3D 시각화 및 수동 조작 기능 지원 - 디팔레타이징 작업을 위한 로봇 자세(pose) 입/출력 - 로봇 작업 상태 모니터링 및 작업 내역 로깅 가능 O 로봇 동작계획 S/W: - 다관절 로봇의 박스 디팔레타이징 작업 동작 자동생성 - 로봇 그리핑 디바이스의 안정적인 비규격 박스 조작 - 다양한 장애물에 대응 가능한 충돌 회피 경로 계획 -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한 로봇의 최적 동작 생성
공장 생산 라인의 구성 정보 및 컴포넌트 정보를 전달하고 이종 설비 간 상호연동을 위한 데이터/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한 IoT 기반 가변 재구성형 미들웨어 기능 제공
제조환경에 설치된 다수의 에이전트(예: 제조 장비/장치/로봇)를 이용하여 주어진 임무(예: 제품 조립)를 수행하는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주어진 임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에이전트들이 실행해야 하는 행위(Job 또는 Task, 이하 작업)에 대한 계획을 자동 생성하는 기술. 예를 들어, pick 작업과 place 작업, 이렇게 2개 종류(타입)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 무작위로 쌓여있는 박스들을 한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로 옮겨 쌓는 임무를 수행한다고 할 때, 구체적인 pick 작업과 place 작업의 순서열을 자동으로 생성함. 여기서 구체적인 작업이란 작업 타입 별로 정의된 모든 매개변수에 구체적인 값이 결정되어 에이전트가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작업을 말함. 이 시나리오에서 각 박스는 서로 다르며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구분되며, 박스들은 공급 테이블에 무작위로 놓여 매번 다르게 쌓여 있고, 마찬가지로 적재 테이블에 매번 다른 형태로 옮겨 쌓아야 함. 따라서, 작업계획은 매번 달라져야 하며, 같은 타입의 pick 작업, 또는 place 작업이라도 pick하는 대상 박스 및 위치, place 하는 대상 박스 및 위치 파라메터가 다른 값으로 지정되어야 함. 제조 산업 영역에서는 전통적인 Job-shop Scheduling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에 해당됨
600W급 무선충전 송신 및 수신모듈 설계기술은 85Hz대역에서 최대 600W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및 수신부의 설계 기술임. 600W급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송거리 5cm에서 600W 전력 전송시 85% 이상의 DC/DC 효율을 갖도록 설계되었음
구조해석을 통한 기계장비 성능의 사전검증 과정을 자동화해 복잡한 해석모델 생성과정을 단순화 · 자동화하는 기술 기초적인 해석결과를 분석해 정/동적 구조강성 및 운동성능 등의 기계장비 주요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
모듈형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플랫폼 및 AI를 기반으로 한 자율 주행 및 자율 작업이 가능한 로봇으로 비정형 제조 환경 내에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함
로봇 교시란, 플레이 백(play back) 형의 산업용 로봇에서, 매니퓰레이터의 동작 순서, 위치 또는 속도의 설정, 변경을 하는 작업을 뜻함 로봇 교시는 크게 로봇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티칭 펜던트(teaching pendant)의 조작버튼에 의해 매니퓰레이터의 경유점을 가르치는 방법과 교시작업자가 직접 매니퓰레이터의 선단을 잡고 동작을 가르치는 방법 (직접교시)이 있음
인간 근육의 수십 배의 힘을 발휘하면서도 근육 수준의 고파워, 고수축률의 옷감형 인공근육(근육옷감) 및 이를 적용한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으로서 웨어러블 로봇, 재활기기, 헬스케어, 로봇 등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로봇 그리퍼는 목표로 하는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과, 파지한 물체를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그리퍼는 물체에 직접 힘을 인가해서 파지하는 방식(집게형 그리퍼)과, 흡착을 이용하여 파지 하는 방식(흡입형 그리퍼)으로 분류가 가능함 직접 힘을 인가해서 파지하는 방식에서는 동작 형태에 따라 평행 그리퍼와 각도 그리퍼로 분류가 가능한데, 두 가지 형태 모두 그리퍼 끝단의 팁을 오므려서 물체를 압축하는 방법으로 파지함
로봇 그리퍼는 목표로 하는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과, 파지한 물체를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그리퍼는 흡착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방식(흡입형 그리퍼)과 물체에 직접 힘을 인가해서 파지 하는 방식(집게형 그리퍼)으로 분류 가능함 바구니(빈) 안에 적치되어 있는 물건을 파지하는 경우와 같이 좁은 공간에 위치한 물체 파지가 필요한 상황이거나, 집게형 그리퍼가 파지할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흡입형 그리퍼를 주로 적용함
가공소재 변경시 셋업공정 무인화를 위한 척 홀더 빌트인 타입의 X/Y/Z 3축 가공원점 자율인식 및 동시 자율보정 모듈
다양한 사양 및 어플리케이션을 갖도록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작 가능한 모듈형 로봇 기술 복수의 모듈을 조립할 때 전선이 로봇 내부에서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중공형 모듈 기술
정밀 부품 조립이 가능한 All-in-one 매직 그리퍼 및 이를 이용한 조립 공정 구현 기술 IT제품의 정밀 부품 조립을 위한 티칭 기술, 보정기술, 조립전략이 일체화된 수동강성 그리퍼, 조립 로봇 시스템 및 조립 공정 기술 조립공정분석 및 그리핑 메커니즘 조립 공정을 위한 수동 강성 그리퍼 정밀부품 조립을 위한 실용적 조립전략 외부환경에 강인한 비전솔루션
하모닉 감속기란, 산업용 로봇 및 정밀 기계, 장비에서 활용 되는 핵심 구동 부품 중 하나로써, 기존 감속기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경량화 설계가 가능하고 고정밀, 저백래시를 구현한 감속기임 하모닉 감속기는 웨이브 제네레이터(Wave Generator, W/G), 플렉스 스플라인(Flex Spline, F/S), 서큘러 스플 라인(Circular Spline, C/S)의 3가지 핵심부품을 기반 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형태의 감속기와 달리 세 개의 핵심 부품이 동일 축 선상에 조립이 되는 구조를 가짐